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8

삼성전자 코딩테스트(코테) 구현 모듈 (공유) 공부하면서, 삼성이 좋아하년 여러 구현 모듈들을 정리했다. 해당 모듈들은 Java로 구현되어 있다. 문제 제목은 모두 코드트리의 삼성기출문제를 기준으로 하였음을 명시한다.  https://www.codetree.ai/training-field/frequent-problems/company/samsung/problems 코드트리 | 코딩테스트 준비를 위한 알고리즘 정석국가대표가 만든 코딩 공부의 가이드북 코딩 왕초보부터 꿈의 직장 코테 합격까지, 국가대표가 엄선한 커리큘럼으로 준비해보세요.www.codetree.ai   [구현모듈] 1. 회전시키기 90도 방향으로 좌표 또는 일부분 회전하기, 반시계방향, 시계방향 모두   - 코드트리에서의 '메이즈러너', '예술성' 문제 등 다양한 곳에서 일부 좌표를 90.. 2024. 10. 8.
[신입 공채] 삼성전자 코딩테스트:코테 후기 (삼성 리서치 Samsung Research / 혁신센터) 서론 삼성전자 Samsung Research는 정말 가고싶은 기업중 하나였고, 그만큼 대학원 졸업시즌부터 취업하고 나서까지 계속해서 시도하고 노력해왔었다. 물론 취업 직후라 거의 준비를 못해 간 경우들도 존재하긴 했지만, 나름 준비를 열심히 한 것들 위주로 정리해 보겠다. 한때 첫 번째 시험은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했었는데 그 이후 업데이트된 내용을 보충하여 이렇게 후기글로 작성한다. 이 글의 취지는 서류 결과 발표 일정 및 코딩테스트 일정을 공유하고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에 알면 좋은 사항들 그리고 느낀점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고자 한다. (삼성전자 코딩테스트를 붙어본적이 없어 어떻게 공부하라 라고는 말은 못하겠다)  삼성전자 지원 및 코딩테스트 이력  (첫 번째 try : DX- 삼성 리서치) 대학원 취준.. 2024. 10. 8.
가설검정 이해: 검정통계량, 귀무가설, 대립가설, p-value, 유의수준 (significance level), 임계값 (critical value) 개념 정리 (본질) 글의 목표1. 가설검정이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2. 검정통계량이 왜 도입됐는지 그리고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.3. 귀무가설, 대립가설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알 수 있다.4. p-value, 유의수준, 임계값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.5. 최종적으로 가설검정에 있어 위의 용어들이 어떻게 매핑되고 사용되는지 알 수 있다. 가설검정이란? 통계학에서의 가설검정은 모집단(전체 집단)에 대한 어떤 주장(가설)을 세우고, 표본(부분 집단)을 관찰하여 그 주장이 맞는지 틀린지 판단하는 방법이다.   본론 (스토리 : 평균치 검정 One-sample t-test 예시)* 요약된 결론만 보고싶다면 마지막, 결론만 봐도 된다 * 위에서 정의한 가설검정이 무엇인지 직관적인 그림으로 한 번 나타내보.. 2024. 10. 6.
자유도(Degree Of Freedom)란 & 모분산 추정과 자유도 (n-1) 여담 최근 데이터분석 플랫폼을 만들면서 2019년, 2020년 학부 인턴과 대학원 시절에 했었던 데이터 분석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면서 정리하는 글입니다. 또한 기존에 잘 알지 못했던 자유도 개념을 정리하는 글입니다. 글의 목표이번 포스팅에서는 모수통계학에서의 모분산 추정과 자유도 관련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.이번 글을 읽고나면 이해가 가야할 포인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.1) 자유도의 개념2) 표본에서의 모집단 분산 추정량에서 n-1로 나누는 이유 - 과소추정량의 관점의 설명    : n-1로 나눈 이유를 모집단 분포에서의  - 자유도의 관점의 설명 (분산에 대한 본질적 의미의 이해)    : 표본에서의 분산 추정량에서 자유도로 나눈 이유와 그에 대한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  본론 위의 수식1과 .. 2024. 9. 30.
불확실성, 변동성, 분산 (feat 확률의 본질) 불확실성, 변동성 그리고 분산 이 글을 목표는 확률의 본질에 대해서 불확실성, 변동석, 분산의 개념으로 설명하려고 한다.  위 개념에 대해서, 대학교 통계학 수업을 들었을때 깊은 고민을 많이 했으며, 그 당시 정리된 생각을 녹여내어 글을 작성했다. 1. 불확실성이란? 내가 똑같은 수행을 하더라도 통제할 수 없는 어떠한 변인 때문에 계속 다른 결과가 나오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. (확률이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라 볼 수 있다)  예를 들어, 내가 종이 비행기를 똑같은 힘으로 똑같은 방향으로 10번 수행했다. 과연 그 종이 비행기는 10번 모두 똑같은 지점에 떨어질까? 아니다. 거기에는 바람과 같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변수들이 들어가 계속해서 결과는 달라질 것이다.  2. 변동성이란? 여기서.. 2024. 9. 30.
Anaconda 설치 에러 : AttributeError: module 'resource' has no attribute 'getpagesize' AttributeError: module 'resource' has no attribute 'getrlimit' Python - FastAPI를 이용해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개발을 시작했다.  기본적으로 Pycharm을 사용하지만, 통계관련 단위기능을 확인하고자 Jupyter Notebook을 Window PC에 설치했다. https://www.anaconda.com/download/success Download Now | AnacondaAnaconda is the birthplace of Python data science. We are a movement of data scientists, data-driven enterprises, and open source communities.www.anaconda.com  옛날에 Jupyter Notebook을 사용했던 기억을 가지고 Anaconda Prompt에서 .. 2024. 9. 25.